독성동력, 대사 등 |
독성코드 |
- T2000000171
- 서울시 중독센터
|
독성수치 |
- 정부 공공데이터에 해당 정보 없음
- 서울시 중독센터
|
종말점 |
- TDLo
- 서울시 중독센터
|
동물종 |
- 사람
- 서울시 중독센터
|
투여경로 |
- 경구
- 서울시 중독센터
|
용량 |
- 450 mg/kg for 6Y
- 서울시 중독센터
|
흡수 |
- A. 경구투여납은 첫 번째로 장에서 흡수된다. 납의 위장 내 흡수는 5~15% 가량으로 그 범위가 넓다 (Mahaffey, 1981).대부분의 납 중독은 천천히 시작되며 납 페인트 또는 공업 먼지와 같이 낮은 용해도를 가진 물질로부터 점진적인 축적을 일으킨다. 납의 흡수는 철, 아연, 칼슘 결핍에 의해 촉진된다 (Mahaffey, 1981). 음식에 포함된 인, 리보플라빈, 비타민 C, 비타민 E는 납의 흡수를 증가 시킨다 (Zenz, 1994). 납을 섭취하였을 때, 대부분은 흡수되지 않은 채로 배설된다. 흡수된 납의 대부분은 간을 통해서 남으며 일부는 담즙을 통해 배설 된다 (Lewis, 1996).B. 흡입폐를 통한 흡수는 고운 입자 형태, 증기, 연기에 있는 흡입된 먼지를 통해 일어난다. 납 미립자가 폐에 있을 경우 대부분이 흡수된다 (Harbison, 1998).호흡기를 통한 납의 흡수는 침전, 섬모 청소율, 폐포 청소율에 의존적이다 (Harbison, 1998; Zenz, 1994).침전은 입자의 크기 및 호흡량에 의존적이다. 큰 입자는 작은 입자에 비해 보다 쉽게 상기도에 위치하며 섬모 청소율의 대상이 된다.섬모 청소율은 입자 크기에 의존적이다. 섬모 청소율의 종말점은 위장관이며, 그 이후로는 흡입된 납 입자는 섭취한 납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폐포 청소율은 용해도가 더 낮은 물질이 어떤 시간 이후, 분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납 화합물의 용해도에 의존적이다. 또한, 개개인의 생리학적 다양성과 특정 병리학적 상황은 폐의 납 흡수에 영향을 미친다 (Harbison, 1998; Zenz, 1994).C. 피부흡수무기 납의 각질층 흡수는 제한적이다 (Harbison, 1998; Zenz, 1994). 피부 찰과상에 의해 흡수율이 0.3%까지 증가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ACGIH, 1996). 유기 납은 보다 쉽게 피부를 통과할 수 있다.초산납 용액을 진버짐이 난 진피층에 적용하였을 때 중독이 일어났다 (Triebig, 1984).생체 외 실험에서 수행한 실험은 질산납, 초산납과 같은 무기 납이 피부를 통해 빠르게 흡수되며 피부 흡수 후 여섯 시간 이내에 땀, 혈액, 소변에서 측정 가능함을 보여준다. 납 농도의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혈액 또는 소변의 총 납의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실험자는 피부에 흡수되는 납의 물리화학적 형태가 세포외액에 높게 존재하지만 적혈구에 대한 친화력은 낮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Stauber et al, 1994).
- 서울시 중독센터
|
분포 |
- A. 일반적인 분포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명확한 납 균형 상태에 있다. 평균 혈중 납 농도는 1세는 0.03mg/L, 5세는 0.11mg/L, 성인에서는 0.22mg/L로 보고되었다. 60세에 체내 전체 납의 양은 50~350mg 가량이 됨이 또한 보고되었다 (Baselt & Cravey, 1995).치아는 많은 양의 납을 포함한다 (Zenz, 1994). 납은 치육에서 황화 형성 연선의 형태로 침전된다.흡수된 납의 90% 이상이 뼈에 존재하며, 나머지는 모발, 손톱, 땀, 소변으로 배출된다. 뼈에 존재하는 납의 농도는 50~60세에 최고치에 도달한다 (Zenz, 1994). 여성보다 남성에서 조직 내 농도가 높음이 보고되었다 (Baselt & Cravey, 1995, Counter, 1998). 납은 뼈에서 용해되지 않는 염의 형태로 침전된다.납 미립자가 폐에 한번 존재하면 대부분이 완전히 흡수된다.B. 조직, 체액 내 분포납의 분포동력학은 복잡하며 사람에서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다. 반응속도상수를 통해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은 극히 적다. 다음과 같은 동력학적 특성은 임상적으로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혈중 납은 대부분 RBC에 존재한다; 납은 부드러운 조직 내외를 빠르게 이동한다; 뼈는 상대적으로 얕은 부분 (t1/2 = 90 d)와 깊은 부분 (t1/2 = 37yr)의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치아는 말단부분이다 (Marcus, 1985).혈중 납에 대한 혈장 납의 비율에 100을 곱한 것은 생체이용율 지표이며 이는 전지 및 세라믹 분야 노동자에서 2.5%, 초산납에 노출된 공장 노동자에서는 5.3%로 나타났다 (Cavalleri & Minoia, 1987).
- 서울시 중독센터
|
대사 |
- 납은 섭취된 것이 염으로 전환될 때 금속 형태다.
- 서울시 중독센터
|
배설 |
- 1) 신장소변을 통해 배출된다.2) 대변납이 섭취되면 대부분은 흡수되지 않은 채 대변을 통해 배설된다 (Lewis, 1996). 용해되지 않는 염 형태의 납, 금속 납, 흡수된 일부의 납은 대변을 통해 제거된다.3) 답즙흡수된 납의 대부분은 간에 축적된 후에 담즙을 통해 일부가 배설된다 (Lewis, 1996).4) 기타납의 일부는 피부, 모발을 통해 제거된다.우유 - 멕시코 시 연구에서 혈중 45.88mcg/dL은 우유 중 2.47mcg/mL를 생성하였다. 상관계수는 0.88이다 (Namihira et al, 1993).
- 서울시 중독센터
|
기전 |
- 1) 납은 발달과정의 동물 뇌에서 수지상돌기의 가지 뻗기 (dendritic arborization)를 저해할 수 있다.2) 납은 헴의 생합성과정 중, 델타-아미노레불린산 디하이드라테이스에 의한 델타-아미노레불린산의 포르포빌리노겐으로의 전환 과정과 철결합효소 및 Fe+2 에 의한 프로토포르피린 IX의 헴으로의 전환 과정을 방해한다 (Gilman et al, 1985).3) 혈중 납 농도의 상승을 동반하는 어린이의 철분결핍은 어린이로 하여금 낮은 수준의 혈중 납 농도에서 나타나는 납 독성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혈장 납 농도 증가를 야기하는 트란스페린(transferrin) 포화비율에 대한 납의 농도 의존적 효과에 기인한다 (Marcus & Schwartz, 1987).4) 납은 혈장 카테콜아민 활성의 증가를 야기하며, 이는 어린이의 만성납중독과 관련된 과운동성과 고혈압의 임상적 징후를 야기한다.5) 신경독성 - 흰쥐 실험결과 납에 노출되면, 특정 발달단계의 대뇌피질 및 해마의 핵 내에 존재하는 cycli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의 인산화 및 결합능력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혀졌다.
- 서울시 중독센터
|
독성자료 |
- 1) 심각한 선천성 납중독 유아 (제대혈 납농도 7.6 mcmol/L or 157.5 mcg/dL; BLL of 11.8 mcmol/L)의 경우, 킬레이트화 치료법을 통해 회복되었다. 2) 정신질환 경력이 있는 한 남성의 경우, 206개의 납 탄환을 삼킨 뒤 심각한 납중독 현상을 보였다 (BLL 391 mcg/dL). 적극적인 위장관 오염제거와 킬레이트화 치료법을 통해 회복되었다. 3) 납 중독은 납의 독기로 일어나는 질병의 하나로 언어 장애, 두통, 복통, 빈혈, 운동 마비, 청각 장애, 성장 지연, 경련,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서울시 중독센터
|
|
증상 |
독성효과 |
- 정부 공공데이터에 해당 정보 없음
- 서울시 중독센터
|
증상 |
-
1 눈에 납 이물질이 유입됐을 때 거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독성도 거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조직 내 연구로 상세하게 제시된 다양한 안구 이물질에 대한 임상에 의하면 금속 이물질로 인해 염증성 반응 보다는 주로 기계적 손상이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보고서에서 환자의 납 조각은 눈과 눈확에서 잘 견디며 전방에 있지 않으면 제거될 필요가 없다고 결론내렸다. 한 케이스에서 유리체에 작은 납 조각이 분포됐을 때, 시력은 1년 사이에 흡수되거나 정착된 유리체 내 혈액으로 정상으로 돌아갔다. 한 경우는 아주 예외적인 것처럼 보이는데 안구 뒷편에 납 조각이 위치한 한 환자는 시력을 손상되었다. 이는 납의 독성 효과로 추정된다. 손상 후 5년 후에 2,3-다이머캅토프로판설포네이트 나트륨으로 전신 및 국소 치료를 시작했을 때 상당한 시력 개선이 보고되었다 (Grant, W.M., 1986).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정보제공시스템 (Toxinfo)
- 서울시 중독센터
|
사례보고 |
-
1 납 관련 노동자 자녀, 91명의 어린이 중 38명(41.8%)에서 납 혈중 농도가 300 ug/L까지 나타났고, 10명은 납 혈중 농도가 800 ug/mL보다 높았다. 오염의 원인은 부모가 오염된 작업복에 함께 운반되어 온 납 먼지였다 (IPCS, 1994).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정보제공시스템 (Toxinfo)
- 서울시 중독센터
|
역학연구 |
-
1 조건부 평균 정규방정식(OLS)을 포함하는 조건부평균은 회귀 분석 특히 주요 관심사가 결과 분포의 꼬리 부분에 있는 경우 노출-반응 관계에 대한 불완전한 그림을 제공한다. 분위수 퇴화(QR)는 결과에 대한 독립 공변량의 영향을 결과 분포에 따라 어느 위치에서나 지정할 수 있는 대체 방법론적 접근법을 제공한다. 우리는 QR을 실시하여 표준화된 4등급 시험을 통해 아동기 납 노출의 읽기능력과 수학에의 영향을 조사했다. 2개의 도시 학군(1,076명)의 어린이에서 납 노출은 읽기능력 점수의 10번째 분위에서 18.00포인트 감소(95% CI: -48.72, -3.32)와 90번째 분위에서 7.50포인트 감소(95% CI: -15.58, 2.07)와 관련된다. Wald 테스트는 분위수의 분포에 걸쳐 계수의 중요한 이질성을 나타냈다. 수학 점수는 계수의 이질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10번째(b=-17.00, 95% CI: -32.13, -3.27) 대 90분위수(b=-4.50, 95% CI: -10.55, 4.50)에서 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에 따르면 납 노출은 시험 점수의 하위 꼬리 부분에서 어린이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조건부 평균의 접근에 의해 가려진 결과가 나타난다 (Magzamen S et al, 2015).2 서로 다른 무연 담배(SLT) 제품을 씹은 12-15세 사이의 청소년 남성의 두피 모발 샘플에서 카드뮴과 납 수치를 평가했다. 비교 목적으로, 무연 담배 제품을 소비하지 않은 동일한 연령 그룹의 소년을 대상으로 선택했다. SLT 제품 및 두피 모발 시료의 카드뮴과 납 농도는 마이크로파 보조 산분해 후 전열 원자 흡수 분광 광도계(ETAAS)로 측정 하였다. 방법론의 타당성과 정확성은 인증된 표준물질(CRMs)에 의해 확인되었다. 두 요소의 실험값과 인증값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과 데이터는 다른 SLT 제품을 섭취한 사춘기 소년이 두피 모발 샘플의 카드뮴과 납 수준이 대조군과 비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사춘기에 씹는 다른 SLT 제품은 지시약과 관련하여 두피 모발에서 각각 82.2-110 및 60.6-94.5% 높은 카드뮴과 납 수준을 나타냈다 (Arain SS et al, 2015).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정보제공시스템 (Toxinfo)
- 서울시 중독센터
|
기타 |
-
1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뇌에 대한 납 효과의 주요 해부학적 부위는 혈액-뇌 장벽의 내피세포라고 한다. 비록 미세혈관 형태의 변화가 낮은 수준의 노출에서는 분명하지 않지만, 뇌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납 유발 생화학적 및 기능적 변화가 있다. 실험적 연구에 따르면, 발달중인 뇌의 모세 혈관을 형성하는 미성숙 내피세포는 성숙한 뇌의 모세혈관보다 납에 대한 내성이 낮고 유체 및 양이온이 뇌, 특히 뉴런 및 성상 세포의 새로 형성된 구성 요소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임신기간 동안 태아 두뇌의 납의 섭취는 출생 이후보다 더 크다. 출생시 3.5배 증가한 것과 비교하여 총 뇌의 납 농도는 6배 증가했다. 출산시 같은 수준의 납에 노출 됐을 때 출산 후에는 2배 증가한 것에 불과했다 (Goyer RA, 2001).2 섭식 또는 먼지 또는 가스의 흡입은 유독하다 (Larranaga, M.D., 2016).3 급수관의 납땜 부위에서 나온 납의 용해는 물이 연하거나 산성인 곳에서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인구에 장기간 만성적으로 노출되는데 기여한다 (Evans RD, Rigler FH, 1985).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정보제공시스템 (Toxinfo)
- 서울시 중독센터
|
발암성 |
- 정부 공공데이터에 해당 정보 없음
- 서울시 중독센터
|
피부독성 |
- 1) 급성 독성납 아세테이트 산염 용액을 습진 피부에 바른 결과 중독을 나타내었다 (Triebig, 1984).
- 서울시 중독센터
|
심혈관계독성 |
- 1) 급성 독성A. 고혈압코호트 연구에 의하면 납에 노출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혈압이 상당히 높았다.(de Kort et al, 1987). 45년간 낮은 농도의 납에 노출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경우 확장기 혈압이 높았으며 높은 수치의 수축기 혈압을 나타내는 사람의 경우 40mcg/dL의 혈중 납 농도를 보였으나 수축기 혈압에는 영향이 없었다.한 연구에서는 라틴 아메리카 흑인과 멕시칸 미국인에서 높은 BLL이 고혈압을 유발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 (Muntner et al, 2005).B. 심장 이상의 전도건설업에 종사하는 남성에서 3개월 동안 납 페인트로 된 다리의 폭발과 절단 작업을 한 후 복통, 빈혈과 혈중 납 농도가 10.3 micromoles/ liter로 보고되었다 (213 micrograms/deciliter).C. 말초 혈관 장애한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미국 성인 인구를 대상으로 고농도의 혈중 납 농도가 만성 신장 장애 및 말초 동맥 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다변수 조정 모델을 이용한 결과 최상위 1/4의 혈중 납농도 값 (>/=2.47 mcg/dL)을 가진 집단이 최하위 1/4의 납 농도값 (<1.06 mcg/dL)을 가진 집단에 비해 만성신장 질환이 2.72 (1.47-5.04)배 높았고 말초 동맥 질환이 1.92 (1.02-3.61)배 높았다 (Muntner et al, 2005).2) 만성 독성성인의 만성 납중독은 신장성고혈압과 2차적인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서울시 중독센터
|
생식독성/기형유발성 |
- 1) 기형유발성A. 태반장벽납은 태반을 통과 한다 (Mycyk et al, 2002). 자궁의 납 노출은 인지능력의 저하, 심각하지 않은 선천성 기형 등과 관련되어있다. 임신6개월 전 고농도의 납에 아버지가 노출될 경우, 저체중아의 출생 가능성이 5배로 증가한다.B. 선천적 기형5183건의 출산에 대한 전향적 연구결과 심각하지 않은 선천성 기형 (일반적으로 혈관종, 림프관종, 음낭수종, 피부결함)들은 탯줄내의 높은 납 농도와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Needleman et al, 1984).25 mcg/dL 이하의 산모 혈중 납 농도는 임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ietrich et al, 1986). 미국 내 임신 4354건수에 대한 연구에서, 산모 혈중 납 농도가 15 mcg/dL 이상일 경우, 자궁 내 성장지연 위험성이 약간 존재한다. 임신 중 납 중독은 미숙아출산, 저체중아 출산, 태아 성장 장애등과 관련되어 있다. 출생 전 25 mcg/dL이하의 납 농도에 모체가 노출된 경우, 태아에게서 저체중이 나타난다 (Dietrich et al, 1986).1973년부터 1990년 사이에 스웨덴 납제련소 근처에서 사는 여성으로부터 태어난 아이들 2724명에서 결함 있는 출생이 증가되거나 특이적인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연구대상 그룹은 작은 증가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크지 않았다.C. 동물 실험동물실험 결과 다양한 무기 납 염들이 기형성이 있다. 반면에 충분히 해석이 되지 않는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납이 기형성이 있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랫드에서는 납이 태반을 통과하여 모유와 혈액에 2.5:1의 비율로 존재하였다 (Hallen et al, 1995).랫드에서 출생 전 납에 노출될 경우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납에 노출된 암컷 랫드의 경우 비정상으로 발정기가 연장되었고 수컷의 경우 이유기에 혈액에서 납이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자 수가 감소되었다.다양한 동물실험 결과 자궁 내에 납이 노출될 경우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였다. (Newland et al, 1994)2) 임신 중 영향A. 인지 능력 지연제대혈의 납은 모체 납 농도의 80%에 달한다. 10 mcg/dL 농도의 납으로 자라난 아이의 경우 저농도의 납 농도를 보인 아이에 비해 인지능력이 지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Beattie et al (1975)은 고농도의 납으로 오염된 물을 마신 경우 정신적인 지연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클리블랜드 지역 도시에 거주하는 저소득층의 아이들의 경우 이유는 명확히 알 수 없지만 제대혈의 납 농도(모체와는 관련 없음)와 관련된 신생아들의 행동과 기능을 수행하는 테스트 수행 결과가 낮은 것으로 나왔다.(Ernhart et al, 1986)신시내티 납 연구에서 운동 수행능력이 낮은 아이들의 경우 출생 후 납의 혈중 농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체적으로 섬세한 운동 수행능력에서 결핍이 발견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혈중 납의 농도가 높은 미국 흑인 산모에서 태어난 자손의 경우 집중력과 운동 능력이 약간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 혈중 납의 농도는 출산 전 6~7개월 전 조사되었다. (Emory et al, 1999).어떤 연구에서는 산모가 자신의 혈중 납 농도보다 30%가 높은 아이를 출산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산모의 납 농도는 제대혈의 납 농도보다 특히 출산 중에 높아진다. 납으로 유약칠을 한 ceramic 제품이나 통조림으로 된 음식의 사용 혹은 산모의 나이는 탯줄의 PbB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산모 수유의 횟수, 유산(자의적), 임신 중 음주는 탯줄의 PbB를 감소시킨다. (Rothenberg et al, 1996)B. 흡수납은 여성의 생식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100년이 넘게 보고되었다.(Silbergeld, 1983) ; 산화납은 사산제로 쓰여왔다. 고농도의 납에 노출된 여성은 비정상적으로 발육이 저해된 유아를 출산하며 사산아를 낳을 확률이 높아진다. 1930년, 이태리의 Milan에서는 평균 낙태율이 4~4.5% 였으나 납으로 된 잉크로 출판업을 하는 남자의 배우자는 낙태율이 14% 로 보고되었다. 출판업을 하는 여성의 경우, 25%로 보고되었다.영국에서는 납에 노출된 여성의 경우 11%의 유산율을 나타내었으며 40%가 출산 후 사망률을 나타내었다. 프랑스에서는 60%의 낙태율을 보였고 독일에서는 납에 노출된 출판업자의 경우 3배의 낙태율을 보였다.C. 납의 이동임신 중에는 산모의 뼈로부터 납의 이동을 증가시킨다. 임신 중에는 뼈의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장된 납이 용해된 형태로 존재한다 (Gulson et al, 1997). 제련소 주변에 거주하는 산모의 경우 임신 기간 동안 혈중 납은 20% 증가하였으나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산모의 경우 15%가 증가하였다.비타민-미네랄을 섭취하는 흑인 여성들의 혈중 납의 농도는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낮았다.D. 저체중 출산임신 기간 6개월 동안 아버지가 고농도의 납에 노출될 경우 저체중아를 출산할 확률이 약 5배 증가한다.산모의 혈중 납의 농도가 25mcg/dL보다 감소될 경우 임신기간을 단축시킨다 (Dietrich et al, 1986). 4354 명의 미국인 산모들을 대상으로 산모의 혈중 납 농도가 15mcg/dL보다 높을 경우 신장의 발달을 저해할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Bellinger et al, 1991). 임신 기간 동안 납 중독은 미숙아, 저체중아, 태아의 발달 장애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산모의 혈중 납의 농도가 25mcg/dL 보다 적은 경우 출산 전 납에 노출시 저체중아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Dietrich et al, 1986).3) 수유 중 영향납은 모유에 일반적으로 2~30mcg/dL에 존재하며 혈중 납의 농도는 태아나 산모가 비슷하다 (Mattison, 1983).4) 남성 생식 독성남성에게서 혈중 납의 농도가 40 - 70 mcg/dL인 경우 생식능력이 보고되어 왔다. 정자수의 감소, 비정상적인 정자 수의 증가, 호르몬 농도가 변하게 되어 생식능력이 없어지고 성선이 저하된다. 선천적인 생식 기능의 이상과 자연적인 유산이 보고되었다.아버지가 고농도의 납에 노출될 경우 정자 생산이 감소되며 태아의 결함이 보고되었다. 직업상 납에 노출될 경우 생식 기능이 영향을 받는 것이 제기되었다 (Lancranjan, 1975).납 종사자들인 남성인 경우 자녀가 적으며 5년 이상 근무한 경우 납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다 (Lancranjan, 1975).역학 조사 연구에 의하면 남성이 정자의 생산 기간 동안 납에 노출될 경우 자연적인 유산의 위험이 높아진다 ; 남성이 음주할 경우(일주일에 10회 이상) 위험성이 더욱 높아진다.
- 서울시 중독센터
|
신경독성 |
- 1) 급성 독성A. 독성 뇌장애납중독으로 인한 사망과 심각한 장기적 독성은 두개골내압 증가를 수반하는 급성 뇌장애로 인해 야기된다. 뇌장애 증후군은 감각기능 저하, 구토, 운동기능장애, 심한 과민성증상, 시각신경 유두부종, 지각장애, 혼수상태, 발작, 신경 편향징후 등을 포함한다 (Kokori et al, 1999).B. 두통납중독의 다소 불명확한 증상은 불안, 피로, 두통, 과민성 증상 등을 포함한다 (Astudillo et al, 2003).C. 사고 장애a. 인지발달 - 소아과학 - 혈액 및 치아내의 납 농도와 어린이 지능지수간의 관계를 평가한 12 편의 납 연구를 메타 분석한 결과, 저농도의 납 노출과 어린이 지능저하 사이에 연결고리가 존재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Needleman & Gatsonis ,1990).어린이에 대한 납독성의 일차적인 표적시스템은 발달단계의 중추신경계라고 여겨진다 (Mushak et al, 1989).어린이의 혈중 납 농도 증가는 청각장애, 발달지연 (Schwartz & Otto, 1987), 공격적이고 과도하며 반사회적인 행동 (Thomson et al, 1989), 시각 운동 근육 통합 (Baghurst et al, 1995), 언어인지 (Fergusson & Horwood, 1993), 성장지연 (Shukla et al, 1991)등과 연관되어 있다.임상 실험 결과 출생전후의 혈중 납 농도는 운동신경 발달 테스트의 낮은 점수를 야기했다 (Dietrich et al, 1993).낮은 수준의 혈중 납 농도와 신생아의 인지발달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Ernhart et al, 1986).몇몇 연구는 태아기와 신생아기 때의 저농도 납 노출과 초기 발달 및 신경행동학적 능력의 결함 사이에 연관이 있음을 밝혀냈다 (Mushak et al, 1989).b. 인지 기능 - 성인 - 납 광부들을 대상으로 한 신경행동학적 테스트 결과 기억력과 주의력, 집중력 및 정신운동 능력을 포함하는 인지기능의 전반적인 저하가 확인되었다 (Mangas et al, 2001).한 연구는 과거에 축적된 성인의 납에 대한 노출이 납 노출 중단 이후에도 특히 학습과 기억에 있어서 점진적인 쇠퇴를 야기한다고 보고하였다 (Schwartz et al, 2000).또 다른 연구는 과거의 고농도 납 노출 경험과 제련소 노동자의 단어 기억 능력에는 연관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the H-L pattern group; those with 90% of levels below 40 mcg/dL). 연구자들은 신경심리학적 수행능력의 변화는 혈중 납 농도가 40 mcg/dL 로 유지될 경우 가역적인 과정이라고 결론지었다 (Lindgren et al, 2003).D. 2차 말초 신경장애말초 신경장애의 발생은 혈중 납 농도나 노출기간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무기력증과 마비현상 (예: 수근하수 등)등은 흔한 증상이며, 아이들보다 성인에게서 더 흔히 나타난다. 감각신경 장애는 덜 흔한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몇몇 보고에 따르면 말초 신경 전도 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자각증상 없이 납에 노출된 노동자에게서 더 느려진다고 한다 (Murata et al, 1993).E. 조정기능의 문제 - 균형한 연구는 납에 노출된 노동자들이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눈 감고 서있을 때 더 불안정하였다고 보고하였다 (Chia et al, 1994). 눈을 뜨고 있을 때에는 두 실험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F. 발작납중독에 의해 일어나는 SIADH (항이뇨호르몬부적절분비증후군) 에 대한 2차적인 발작이 두 명의 환자에게서 보고되었다. 한 명은 7살 소년으로 납중독 증상을 보인지 3일 후에 저나트륨혈증(125 mEq/L) 과 혼수상태를 수반하는 발작을 보였다. 두 번째 환자는 30세의 여성으로 납 중독 치료 2일째에 저나트륨혈증(117 mEq/L)과 발작을 보였다(Ruha et al, 1998).두 환자 모두 저나트륨혈증과 발작이 개시되기 이전에 BAL과 Ca-EDTA 를 처치하였다. 소년 환자는 수분섭취 제한과 고장액 식염수 섭취 2일 만에 회복되었고, 여성 환자는 수분섭취 제한과 푸로세마이드 처치 후 3일 만에 정상 수준이 되었다.G. 혼수상태납으로 만들어진 젖꼭지 보호기를 사용하는 모유수유 중인 5개월 여아에게서 혼수상태 (Glasgow 등급의 7단계) 가 보고되었다. Edetate calcium disodium 과 mercaprol을 이용한 킬레이트화 치료결과 납 농도가 240 mcg/dL 에서 10 mcg/dL 로 점차 감소하였다 (Kokori et al, 1999).H. 무력증납 노출에 의한 허약증세, 우울증, 졸림과 피로현상이 보고되었다 (Frith et al, 2005).납 (lead tetroxide 또는 red lead)에 오염된 소시지용 파프리카를 섭취한 53명의 성인에게서 납 중독이 보고되었다. 허약증세와 졸림, 피로현상이 29명의 환자에게서 확인되었다 (Kakosy et al, 1996).I. 졸도납(lead tetroxide 또는 red lead)에 오염된 소시지용 파프리카를 섭취한 53명의 성인에게서 납 중독이 보고되었다. 두 명의 환자에게서 졸도현상이 확인되었다 (Kakosy et al, 1996).J. 진전한 연구에서 혈중 납 농도와 본태성 진전현상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상관관계가 납에 대한 노출증가 때문인지, 이 환자들에서 보이는 체내 납 동력학적인 차이 때문인지는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후속 연구를 권장하였다.2) 만성 독성A. 시각 신경염보편적으로 인정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10 mcg /dL 이하의 혈중 납 농도는 어린이의 지능지수를 감소시킨다고 제안되고 있다. 실명에 이르게 하는 시각 신경염이 납중독 어린이에게서 보고되어 있다 (Lewis, 1996; Zenz, 1994).B. 독성 뇌장애납에 의해 유발되는 뇌장애는 극심한 대뇌부종, 뇌척수액 압력의 증가, 모세혈관 및 동맥 내피세포의 증식과 팽창, 신경교세포의 증식, 신경세포 퇴화, 피질 괴사 등을 수반한다 (Lewis, 1996).C. 마비말초 신경 마비 (또는 납 중독마비)는 대표적으로 신근에 영향을 미치며, 감각신경이상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운동신경만 특이적으로 관련되는 특징을 보인다(Zenz, 1994).
- 서울시 중독센터
|
소화기계독성 |
- 1) 급성 독성A. 위장관 독성만성 독성인 환자에게서 복부 통증, 구토, 변비, 설사, 식욕부진이 나타난다. 진행시 구강 내 금속 맛이 나며 체중감소가 나타난다 (Astudillo et al, 2003; Grimsley & Adams-Mount, 1994; Dahlgren, 1978).B. 소화관 내 출혈납의 섭취 후 소화관 내 출혈이 드물게 보고되었다 (Frith et al, 2005; McNutt et al, 2000).C. 약물 유도에 의한 장 폐색드물게 일어나는 효과로 35개월 유아가 급성 납 중독에 의해 장관 운동 마비로 의한 장 폐색이 보고되었다 (Zwiener et al, 1990).D. 후천성 유문부 폐색드물게 일어나는 효과로 요양소에서 일하는 79살 간호사가 납 유약칠이 된 혼합물을 약 15mL를 섭취하여 유문부 폐색과 혈중 납의 농도가 81mcg/dL로 상승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Snook et al, 1992).2) 만성 독성A. 복부 통증총상으로 인한 납의 흡수로 복부통증과 식욕부진이 보고되었다. 이로 인한 납 중독은 3개월에서 40년간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Harbison, 1998)
- 서울시 중독센터
|
신장독성 |
- 1) 급성 독성A. 신장 세뇨관 이상단백뇨, 당뇨, 아미노산뇨에 의한 세뇨관의 손상이 보고되었다 (a Fanconi-like syndrome). 급성 신기능 부전은 아동에서 보고되었다 (Khan et al, 1983).B. 급성 신부전신장에 납이 축적될 경우 당뇨와 아미노산뇨를 일으킨다. 만성적인 납 중독 후 EDTA와 BAL로 치료를 받은 26개월 된 여아에서 가역적인 급성 신부전증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결핍 동반)이 보고되었다 (Khan et al, 1983).C. 신전 요독 증후군장기간 납에 노출될 경우 질소혈증과 고혈압을 일으킨다. 퉁풍 (Sauterine gout)은 요산염의 배설이 감소될 경우 진행된다 (Niamane et al, 2002; Shadick et al, 2000; Colleoni & DAmico, 1986).D. 신장의 기능 이상전향적 연구에서 만성 신부전 기능 저하인 환자가 환경적으로 저농도의 납에 노출될 경우 만성적으로 신장 기능의 저하를 가속화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Yu et al, 2004). EDTA을 사용한 실험에서, 체내 납 축적량이 정상인 사람 (혈중 납 농도의 범위는 1~13.4mcg/dL)과 신기능 부전인 환자 121명 중에서 체내 납 축적량이 높은 63명(80~530mcg)의 환자들 중 15명이 48개월 이상 혈청 크레아틴 농도가 두 배였다. 체내 납 축적량이 적은(80mcg 미만) 58명의 환자 중 2명만이 48개월 이상 혈청 크레아틴 농도가 두 배였다.2) 만성 독성A. 독성 신장 장애급성 납 노출 후 신장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간질성 신장염은 사구체의 여과율을 감소시키고 비특이적인 접촉성 세뇨관의 이상을 유발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보고되었다 (Niamane et al, 2002; Wedeen et al, 1986; Verschoor et al, 1986).특히 아이들의 경우 신장에 대한 납의 영향력이 크다. Fels et al (1998)은 소변의 지표 물질을 이용하여 낮은 농도의 납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아동의 사구체, 접촉성 세뇨관, 원위성 세표관의 간질성 변화가 나타난 것을 표본연구로 보였다.납은 간질성 섬유화, 사구체의 변성, 세뇨관 세포 핵 내의 봉입체 유도, 세동맥 및 소동맥의 혈관을 변화시켜 신장에 손상을 일으킨다 (Zenz, 1994). 만성적으로 납에 노출된 환자에서 몇 가지의 증상들이 넓은 범위에 걸쳐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한다 (OSHA, 1999).B. 요독증장기간 납에 노출될 경우 질소혈증과 고혈압이 발생한다. 퉁풍(Sauterine gout)은 요산염의 배설이 감소될 경우 진행된다 (Niamane et al, 2002; Shadick et al, 2000; Colleoni & DAmico, 1986).
- 서울시 중독센터
|
면역독성 |
- A. 백혈구 이상a. 두 편의 연구에서 납에 노출된 노동자들의 호중구세포 주화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납에 노출된 노동자들의 호중구세포는 정상적인 식세포운동을 보였으나 칸디다균을 죽이는 능력이 감소되어 있었다 (Queiroz et al, 1994). 이러한 발견의 임상적 의미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b. T 세포 - 25 mcg/L 이상의 농도로 만성적으로 납에 노출되는 화기 교관들은 T-lymphocytes 와 T-helper 세포에서 독성을 보였다.
- 서울시 중독센터
|
간독성 |
- 1) 급성 독성A. 간 손상7g의 납 아세테이트산 염을 섭취할 경우 간 손상이 보고되었다 (Karpatkin, 1961; Sixel-Dietrich, 1985).21살인 남성이 적납(산화납)을 섭취하여 간 손상과 용혈 현상이 발생하였다 (Nortier, 1980). 사산화물(tetroxide)을 섭취한 14명의 남성에게서 간 효소 수치가 증가하였다 (Marek et al, 1994).2) 만성독성A. 간 효소 기능 이상하루에 4~6번 2개월간 중국 허브 약을 복용한 23살 여성이 비특이적인 골격근 통증과 간 기능 검사 (혈청 알칼린 인산 138U/L, 혈청 알라닌 아미노전이 효소 181U/L)가 상승하였다. 혈중 납 농도는 3.3mcmol/L로 보고되었다 (Auyeung et al, 2002).
- 서울시 중독센터
|
유전독성 |
- A. 백혈구 이상a. 두 편의 연구에서 납에 노출된 노동자들의 호중구세포 주화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납에 노출된 노동자들의 호중구세포는 정상적인 식세포운동을 보였으나 칸디다균을 죽이는 능력이 감소되어 있었다 (Queiroz et al, 1994). 이러한 발견의 임상적 의미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b. T 세포 - 25 mcg/L 이상의 농도로 만성적으로 납에 노출되는 화기 교관들은 T-lymphocytes 와 T-helper 세포에서 독성을 보였다.
- 서울시 중독센터
|
흡입독성(눈,귀,호흡기계독성) |
- 3.2.10.1 눈1) 급성 독성납 금속은 인간의 눈에 적은 반응을 나타내거나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납 중독은 신경 체계를 거쳐 시각과 눈의 장애 (일시적인 시각 손실)를 일으킨다 (Kakosy et al, 1996; Grant, 1993).3.2.10.2 귀1) 급성 독성청각 손실 - 소아와 성인에게서 혈중 납의 농도의 상승과 약간의 청각 손실이 서로 관계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Schwartz & Otto, 1986; Schwartz & Otto, 1991; Rybak, 1992).3.2.10.3 코해당 자료 없음3.2.10.4 목A. 연연 - 잇몸의 가장자리의 납 황화물 침전에 의해 청흑색 선이 발생한다 (Aly et al, 1993). 청소년과 성인에게서 발생한다 ; 드물게 5세 미만의 아이들에서 구강 내 박테리아로 인한 황화물이 생성되어 발생한다.B. 충치 - Moss et al (1999)은 체중감소, 구강 치료를 받은 후 납에 노출된 아이들에서 충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C. 금속 맛 - 환자들은 구강 내에서 금속 맛이 난다고 호소할 수 있다 (Grimsley & Adams-Mount, 1994).3.2.10.5. 호흡기계해당 자료 없음
- 서울시 중독센터
|
기타독성 |
- A. 저나트륨혈증두 명의 환자들이 납중독으로 인해 간질 및 이차적인 저나트륨혈증과 SIADH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Ruha et al, 1998).B. 혈액독성1) 급성 독성a. 빈혈일 센티미터 큐빅당 400만~450만개의 적혈구와 70~80%의 헤모글로빈 레벨은 빈혈은 만성 납 중독의 지표가 된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제련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그렇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혈청 철 수치, 트렌스페린 포화도, 철의 흡수가 특히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제련업 종사자는 총 철-결합 수용도가 특히 높게 나타났다. 제련업 종사자는 특히 철-결핍성 빈혈(헤마토크릿 수치로 판별)의 빈도가 높았으며 혈중 납의 농도가 높았다. 저자는 적당한 철의 섭취가 납으로 인한 독성을 방지한다고 언급하였다 (Kim et al, 2003).b. 용혈성 빈혈심각한 납의 중독은 용혈성 빈혈을 동반한다고 보고되었다 (Miwa et al, 1981). 용혈 현상은 적 납(산화 납)을 섭취할 경우 발생한다 (Nortier, 1980).c. 소적혈구성 빈혈헴의 합성은 많은 효소 합성의 영향을 받는다. 헴의 합성은 진단학적으로 중요한 델타-아미노레불린산, 코프로포르피린 (소변에서 측정)기질의 생성과 프로토포르피린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 혹은 EP같은 적혈구에서 측정)생성을 유도한다.소적혈구성, 저색소성 빈혈에 의해 이와 같은 효소들의 합성이 저해된다 (Meggs et al, 1994). 납이 혈액 생성에 끼치는 영향은 영구적이지 않다.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의 수치가 정상범위이더라도 혈중 납의 농도가 10mcg/dL를 넘으면 수치가 감소한다 (Poulos et al, 1986).납 중독인 환자들에게 소적혈구성 빈혈은 상당히 빈번히 나타난다 (Anon, 2004; Lavoie & Bailey, 2004; Mangas et al, 2001).d. 정적혈구성 저색소성 빈혈철 결핍 - 혈중 납의 농도가 높은 아이들의 경우 빈혈보다 철 결핍이 빈번하다 (Rajkumar et al, 1987). 혈중 납의 농도가 상승한 아동 내의 철 결핍을 조사한 결과 FEP의 상승 및, 영양과 사회 경제적인 위험성도 원인으로 갖고 있다 (Carraccio et al, 1987; Linakis & Shannon, 1989).e. 정적혈구성 정상색소 빈혈보충제를 섭취한 환자에게서 정적혈구성 정상색소 빈혈이 보고되었다 (Frith et al, 2005; Auyeung et al, 2002; Spriewald et al, 1999).2) 만성독성일 센티미터 큐빅당 400만~450만개의 적혈구와 70~80%의 헤모글로빈 수치인 빈혈은 만성 납 중독의 지표가 된다.중독의 초기단계 중 아동에서 납에 의한 빈혈은 소적혈구성 혹은 저색소성이지만 만성단계에서는 정구성 빈혈 혹은 정상색소 빈혈로 바뀐다. 독성이 급성일수록 적혈구의 생존 주기를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 독성이 만성일 경우 특히 헴의 합성이 저해된다 (Zenz, 1994).C. 근골격장애1) 급성 독성a. 근육 통증성인에서 근육통과 관절통이 나타난다 (Mangas et al, 2001; Kakosy et al, 1996; Fischbein, 1992a; Grimsley & Adams-Mount, 1994; Gittleman et al, 1994; Angle, 1993).b. 골격 발달의 이상납은 골격의 형성에 축적되어 뼈의 선형 성장을 저해한다. 3차 국제 보건 및 영양 조사(NHANES III)는 혈중 납의 농도는 키와 머리 둘레의 감소와 연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혈중 납이 매 10mcg/dL 증가할 때마다 키는 1.57cm가 감소하였고 머리 둘레는 0.52cm 감소하였다 (Ballew et al, 1999).c. 골격의 이상골격내 납 농도 - 골격 내에 90%의 납이 축적된 것으로 밝혀졌다. 제련소에 근무하는 종사자의 경우 납에 대한 노출이 종결 된 후 초기 뼈의 납 농도가 평균 97mcg / dL (범위 : 61~131)으로 기록되었고 반감기가 6.7년(범위 : 3.4~15)으로 나타났다.d. 관절염활액막염으로 인한 납의 관절염은 퇴행성관절염으로서 총탄으로 인한 기계적인 어려움, 관절 부분 근처에 납 총탄으로 인한 상해가 몇 년간 지속될 경우 발생한다. 전반적인 납의 중독은 활액 내의 납 용해로 이어질 수 있다 (DeMartini et al, 2001; Farber et al, 1994).D. 내분비독성1) 급성 독성a. 내분비계의 이상성장 - 혈중 납의 농도가 높은 아이들의 경우 신경 내분비계의 이상으로 인한 성장 저해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chwartz et al, 1986).b. 비타민 결핍비타민 D - 저농도의 납에 노출될 경우 1,25 디하이드록실 비타민 D 농도가 감소되는 것과 연관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Rosen et al, 1980).c. 몸의 성장 감소성장 호르몬 - 납으로 인한 작은 키는 성장 호르몬 분비의 저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Huseman et al, 1992).E. 대사독성a. 고뇨산혈증납에 의한 신장애로 인해 고뇨산혈증과 통풍이 나타났다 (Niamane et al, 2002; Colleoni & DAmico, 1986; Wedeen et al, 1986).중년층과 장년층에서 납에 대한 만성 노출과 요산 수치가 연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hadick et al, 2000)..F. 정신과 독성공격적인 행동 - 공기 중 납의 농도와 공격적, 폭력적인 행동 간의 상관관계가 보고된 바 있다 (Stretesky & Lynch, 2001).
- 서울시 중독센터
|
|